4월 1일 기준 미국의 코로나19환자는 18만 명이 넘었고, 사망자 수는 3천440명으로 집계되어 중국을 앞질렀다
이처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이 사그라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게다가
해외 유명 인사들도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했다는 소식이 종종 들려오곤 하는 상황이다
‘스타워즈’에 출연한 배우 앤드루 잭을 비롯하여 일본 코미디언 시무라 겐, 스페인 공주 마리아 테레사 등이 코로나 때문에 사망했다고 하여 큰 충격을 받음과 함께 코로나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광활하여 많은사람들이 되도록이면 외출을 꺼리고 있으며 나라에서도
외출금지를 권고하는 입장이다.
최근 아르헨티나도 3월에 강제 외출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
집 안에 있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집 안에만 있다보니 답답함과 우울증을 호소하는 이들도 상당히 많아졌다
하지만 일부 부자들은 ‘자가 격리’ 중임에도 전혀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휴가온 듯한 기분이 든다고 해서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샀는데
답답함대신 휴가의 여유를 즐기는 이들은 어떤 ‘자가격리’중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돈이 많은 부자들은 ‘자가격리’하는 클래스도 다르다.
바로 섬을 사들여 그 안에서 쉬는 것이다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도시가 아닌 무려 섬에서 하고 있는 것인데
이들은 일반 사람들처럼 좁은 집에 갇혀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 모습이다. 본인 소유의 섬에서 넓은 섬에 완전히 고립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나름의 자가격리를 하는것이다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짐과 동시에 일부 부자들의 섬에 대한 매입 문의가 폭증했다.
카리브해 연안 국가 벨리즈 인근의 외딴섬이나 중앙아메리카 지역의 섬을 중심으로 구매 문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섬의 가격대도 천차만별.
캐나다 라운드 섬은 5만 5000달러(6730만 원)부터 시작하고
미국 플로리다에 위치한 펌킨키섬은 9500만 달러(1163억 원)에 이르기까지.
재미있는건 하루 숙박도 가능하다는 사실인데 하루를 숙박한다면카리브 해 연안의 섬을 기준으로 하루 2천950달러(약 360만 원)을 지불해야한다
하지만 사회와 완전히 차단되면서 식량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섬은 별로 많지 않기 때문에 섬에 완벽히 고립될 수는 없다.
섬을 관리하는 것도 외부인들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도시로부터 식량을 조달 받아야 하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외부인과의 접촉이 불가피하다
호날두도 최근 코로나19 대피장소로 섬을 구매했다.
최근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여파로 호날두가 뛰고 있는 세리에 A 일정이 잠정 중단되었기 때문에
호날두는 리그가 재개될 때까지 이번에 매입한 포르투갈령 마데이라 섬에 머물 계획이라고 한다.
또한 유벤투스 팀 동료 다니엘 루가니가 코로나19 확진을 받으면서 선수들은 전원 자발적 격리에 들어갔다.
호날두는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코로나19의 위협이 코앞으로 다가왔기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
자가격리용 장소로 지하 벙커도 인기를 얻고 있는데
미국의 부유층은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피하기 위해 지하 벙커 대피소를 사들이고 있다.
최근 미국에 코로나 사태가 대유행,발생하면서 지하벙커를 사들이는 부유층때문에 호황을 맞고 있기도 하다고.
벙커 제조업체라는 ‘서바이벌 콘도’에서는 코로나19사태로 벙커 구매 문의와 판매량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벙커 제조업체라는 ‘서바이벌 콘도’가 제공하는 럭셔리 벙커는 굉장한 옵션이 있다.
벙커 안에 수영장은 물론이며 체육관, 암벽 등반시설까지 갖추고 있는데 이정도면 지하벙커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이다.
또한 지하라는 답답함을 줄여주기 위해 달아놓은 인공 창문도 놀라울 정도.
이 지하벙커의 가격은 가격은 50만 달러(6억 1천만 원)에서 240만 달러(29억 3천만 원)까지 천차만별이다
이런 장점과 코로나때문에 직접 보지 않고도 전화로 구매하는 이들도 많다고 하네요.
전 세계가 바이러스로 휘청이면서 아마존 최고 경영자인 제프 베이조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게이츠, 이건희, 이재용 등의 세계 부호들이 막대한 재산 손실을 봤다.
부자들은 잃을 것도 더욱 많은셈이다.
빈부를 가리지 않고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게 된 코로나19.
하루빨리 코로나19 사태가 마무리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